CS/모두의 네트워크
-
[모두의 네트워크] 4장 데이터 링크 계층: 랜에서 데이터 전송하기CS/모두의 네트워크 2023. 8. 2. 01:52
OSI 모델과 TCP/IP 모델의 비교 12 데이터 링크 계층의 역할과 이더넷 - 랜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으려면 데이터 링크 계층의 기술이 필요하다. - 데이터 링크 계층은 네트워크 장비 간에 신호를 주고받는 규칙을 정하는 계층으로 대표적인 규칙에는 이더넷(Ethernet)이 있다. - 이더넷은 허브와 같은 장비에 연결된 컴퓨터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사용한다. - 이더넷은 데이터 충돌을 막기 위해 CSMA/CD 라는 방법을 통해 데이터를 보내는 시점을 늦춘다. - 쉽게 말해서 케이블에 신호가 흐르는지를 파악하고 흐르지 않는 경우에만 데이터를 보내는 방법이고 효율이 좋지 않아서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. --> 스위치 사용 13 MAC 주소의 구조 - 비트열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랜 카드에는 MAC(Med..
-
[모두의 네트워크] 3장 물리 계층: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CS/모두의 네트워크 2023. 7. 27. 00:38
OSI 모델과 TCP/IP 모델의 비교 09 물리 계층의 역할과 랜 카드의 구조 - 물리 계층은 컴퓨터와 네트워크 장비를 연결하고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계층이다. -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는 랜 카드를 이용하여 비트열을 전기 신호로 변환해야 한다. 10 케이블의 종류와 구조 - 전송 매체란 데이터가 흐르는 물리적인 선로로 크게 유선과 무선으로 나눌 수 있다. - 유선에는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, 광케이블 등이 있고, 무선에는 라디오파, 마이크로파, 적외선 등이 있다. -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(=랜 케이블)의 종류에는 UTP(Unshielded Twisted Pair) 케이블(실드x)과 STP(Shielded Twisted Pair) 케이블(실드o)이 있다. - 랜 케이블의 종류에는 ..
-
[모두의 네트워크] 2장 네트워크의 기본 규칙CS/모두의 네트워크 2023. 7. 25. 17:48
06 네트워크의 규칙 - 통신을 위한 규칙을 프로토콜이라고 한다. 07 OSI 모델과 TCP/IP 모델 - OSI 모델은 네트워크 기술의 기본이 되는 모델이자 표준 규격이다. - OSI 모델은 데이터의 송수신 과정을 7개의 계층으로 나누어서 설명한다. - 각 계층에는 다양한 프로토콜이 있다. OSI 모델의 7계층 계층 이름 설명 7계층 응용 계층 이메일 & 파일 전송, 웹 사이트 조회 등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한다. 6계층 표현 계층 문자 코드, 압축, 암호화 등의 데이터를 변환한다. 5계층 세션 계층 세션 체결, 통신 방식을 결정한다. 4계층 전송 계층 신뢰할 수 있는 통신을 구현한다. 3계층 네트워크 계층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경로 설정 및 논리 주소를 결정한다. 2계층 데이터 링..
-
[모두의 네트워크] 1장 네트워크 첫걸음CS/모두의 네트워크 2023. 5. 28. 16:18
01 네트워크의 구조 -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서로 주고 받는다. - 인터넷은 전 세계의 큰 네트워크부터 작은 네트워크까지를 연결하는 거대한 네트워크임. - 데이터를 주고 받기위한 규칙이 필요 >>> 패킷(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작은 조각) - 큰 데이터를 그대로 보낼 시 네트워크의 대역폭을 너무 많이 차지해서 다른 패킷의 흐름을 막을 수 있음. - 패킷에 번호를 붙여서 다시 되돌리는 작업이 가능함. 02 정보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 - 0과 1의 집합을 디지털 데이터라고 한다. -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바이트 단위로 데이터를 읽고 쓴다. - ASCII 코드와 같은 대응표를 사용해서 문자를 다룰 수 있음. 03 랜과 왠 - 랜: 건물 안이나 특정 지역을 범위로 하는 네트워크 - 왠: 지리적으로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