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체 글
-
[모두의 네트워크] 1장 네트워크 첫걸음CS/모두의 네트워크 2023. 5. 28. 16:18
01 네트워크의 구조 -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서로 주고 받는다. - 인터넷은 전 세계의 큰 네트워크부터 작은 네트워크까지를 연결하는 거대한 네트워크임. - 데이터를 주고 받기위한 규칙이 필요 >>> 패킷(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작은 조각) - 큰 데이터를 그대로 보낼 시 네트워크의 대역폭을 너무 많이 차지해서 다른 패킷의 흐름을 막을 수 있음. - 패킷에 번호를 붙여서 다시 되돌리는 작업이 가능함. 02 정보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 - 0과 1의 집합을 디지털 데이터라고 한다. -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바이트 단위로 데이터를 읽고 쓴다. - ASCII 코드와 같은 대응표를 사용해서 문자를 다룰 수 있음. 03 랜과 왠 - 랜: 건물 안이나 특정 지역을 범위로 하는 네트워크 - 왠: 지리적으로..
-
Content type 'application/octet-stream' not supported코드스테이츠/메인프로젝트 2023. 5. 22. 17:50
- 위와 같은 상황에서 postman으로 테스트를 진행하면 문제없이 되는데 클라이언트에서 요청을 보내면 Content type 'application/octet-stream' not supported 에러가 발생함. - 해결방법: formdata에 json을 그냥 넣지 않고 blob으로 감싼 후 type을 application/json으로 명시한 후에 넣는다. 문제 코드 fd.append("dto", JSON.stringify(inputs); 해결 코드 const json = JSON.stringify(inputs); const blob = new Blob([json], { type: "application/json" }); fd.append("dto", blob);
-
Section2를 마치고회고 2023. 2. 10. 17:35
벌써 section2가 끝이 났다. 두 달이라는 시간이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시간인데 끈기가 부족한 나로썬 짧지 않은 시간이었다. 벌써부터 집중이 잘 안되는 것 같고 마음이 뒤숭숭해지는 것 같은데 이 중간지점에서 다시 초심을 잡아야 할 것 같다. 네트워크, 데이터베이스, 스프링 등 익숙치 않고 어렵다고 느껴지는 부분에 들어서니까 집중이 잘안되고 section1과 비교하였을 때 깊은 학습이 이뤄지지않는것 같았다. 그에 따라 자신감도 많이 줄어들고 학습에 대한 동기부여도 줄고 학습 시간과 학습량까지 줄어드는 악순환이 이어지는 것 같았다. 앞으로 개발자가 되기 위해 더 어려운 관문들이 많이 있을 것이기 때문에 지금 가장 필요한 것은 아무리 어려워도 계속 시도하는 끈기와 성공사례들을 쌓음으로써 얻는 자신감인..
-
Section1을 마치고회고 2023. 1. 11. 16:07
부트캠프를 시작한지 벌써 한 달 정도가 지났다. section1 부분에서는 기존에 알던 내용이 많기도 하여서 아직 많이 성장했다는 느낌을 받지는 않았지만 기존에 알던 내용을 더 탄탄하게 보완하였고 매일매일 꾸준하게 학습하는 습관을 기르는 데에 엄청난 도움이 되었다. 주어진 커리큘럼과 학습 컨텐츠를 잘 따라가는 것은 좋았지만 여전히 수동적으로 학습을 하고 있었던 것 같다. Section2에서부터는 능동적이고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을 진행할 필요성을 많이 느꼈다. 즉, 주어진 컨텐츠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더 깊이 파고들고 관련된 지식들까지도 습득을 하는 방식으로 학습을 진행해야겠다고 다짐하였다. 또한 학습에서 배우는 부분도 중요하지만 그것을 직접 활용해보고 응용하는 연습을 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..